

> 의료센터 > 내과센터 > 신장병 센터

- 심장에 이상이 생겨 화학물질과 수분을 제거하고 조절하는 능력이 상실되면 노폐물이 체내에 쌓이고 수분과다의 상태가 되어 부종과 함께 요독의 증세를 보이게 됩니다. 그러나, 투석치료가 가능하기전의 시절에는 신기능의 상실은 곧 죽음을 의미하였으나.
오늘날 신기능이 소실된 환자들은 투석치료나 신장이식을 통해 새로운 삶을 살 수 있게 되었습니다.
- 투석이란 신장이 더이상 기능을 더 하지 못할때 정상 신장이 하는 일 중의 일부의 기능을 대신 해 주는 치료방법으로서, 말기 신부전증으로 신장이 대부분의 기능을 손실하게 될 때 투석치료를 필요로 하게 되며 신장기능이 어느정도 남아있더라도 부종이 심하거나 부종이 없더라도 요독이 심하면 투석치료를 필요로 할 수 있습니다.
물론 만성 신부전증이 아니라 급성 신부전증의 경우에 일시적으로 투석치료를 하게 되는 수도 있습니다.
- 투석에는 혈액투석, 복막투석의 두가지 종류가 있으며 모두 몸안의 노폐물과 잉여분의 수분을 제거하는 일을 해 주는데 다만 혈액투석은 혈액을 뽑아서 처리를 한다음 다시 몸안으로 깨끗한 혈액을 넣어주는 과정이고 복막투석은 맑은 투석액을 배(복강)안으로 넣었다가 오염된 물을 꺼내는 방식으로 진행됩니다.
한편 혈액투석은 혈관수술을, 복막투석은 투석관 삽입수술을 각각 받아야 합니다.